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블로깅을 합니다.
이번엔 어떤 것을 쓸까 고민하다가 PIPE BOP 값을 태깅하는 팁에 대해 써볼까 합니다.
태그 관련 패밀리를 보다 보니 DUCT는 태그 패밀리의 레이블 기능을 이용해서 BOD (Bottom of Duct Level)를 표현 할 수 있는데 PIPE는 그걸 REVIT에서 지원을 안 하더라고요. (2016버전) 혹시 2017은 지원하나요??
아무튼 전 PIPE도 BOP 값을 쉽게 표현하고 싶은데 말이죠.. 이렇게 표현할 겁니다.
아마 BIM MEP 하시는 분들은 많이 공감 하실 겁니다. 제가 구글링을 좀 해봐니 유로 PLUG IN을 쓰거나 Spot Elevation기능을 이용하라고 합니다. 하지만 전 돈도 없고 Spot Elevation은 PIPE 태그가 아니기 때문에 제가 원하는 형식으로 태깅이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레빗에서 지원되는 다이나모(Dynamo)와 공유매개변수(Shared Parameters)를 이용하여 PIPE BOP 값을 태깅 해 보도록 해보겠습니다. (이건 실무자분들을 위한 팁이라 초보자분들이 이해하시기에는 어려울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
먼저 레빗에서 PIPE의 세그먼트를 살펴보면 Nominal값과 ID값과 OD값이 있습니다. 공칭치수, 내경, 외경 정도 될 것 같습니다. 200관경의 PIPE를 그리면 ID는 193.675, OD는 219.075 값으로 모델링이 됩니다. 필요시 세크먼트 값을 조정해서 ID, OD값 모두 200으로 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만 전 보통 실사이즈로 작업을 합니다.
여기서 BOP 값을 구하는 데 오류가 생깁니다. 200의 관경을 3000의 높이를 그리면 BOP값이 2890.5값이 나옵니다. PIPE 세그먼트가 다를때 마다 BOP 값이 달라지게 됩니다. 그러면 혼동이 올수 있습니다. 기존의 2D로 진행할 때는 공칭치수/2 값을 빼 준 BOP 2900의 값을 표기해줍니다. 따라서 저는 실 사이즈 PIPE 세그먼트를 사용하지만 BOP 값은 공칭 치수/2 값을 뺀 값을 쓰고 싶은 겁니다.
제가 생각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in Dynamo]- PIPE의 SLOPE 값을 추출 한다.
- SLOPE 값이 1:0.00인 것만 필터링한다. (구배배관이나 입상배관을 필터링 하려는 것임)
- PIPE의 Offset 값과 Diameter 값을 추출 한다.
- Offset – (Diameter/2) 연산을 해준다.
- PIPE BOP 란 공유매개변수에 계산된 값을 넣어준다.
- Dynamo를 돌리기 전에 PIPE BOP란 공유매개변수를 만든다.
- Dynamo를 실행해 PIPE BOP 값을 넣어준다.
- PIPE 태그 패밀리를 만든다.
- 태깅한다.
Dynamo를 잘 모르시는 분들도 많으실텐데요. 컴퓨터 언어를 모르는 사람들도 레빗을 좀 더 확장해서 쓸 수 있게 직관적으로 만들어 놓은 add in이라 해야될까요? 설명하기가 어렵네요. 2017버전 부터는 Dynamo가 Revit에 포함되었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들어가 보세요. 무료 강좌도 있습니다.
공유매개변수(Shared Parameters)는 여러 패밀리,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매개변수 입니다. 일반 매개변수는 패밀리 안에서만 쓰이기 때문에 정보를 추출할 수가 없지만 공유매개변수를 쓰게 되면 파이프에 있는 변수를 태그 패밀리가 접근할수 있게 됩니다.
자 이제 그럼 진행을 해보겠습니다. (Revit 2016 영문버전 입니다)
#1 Revit 에서 공유매개변수 만들기
이미지의 번호 순서 대로 클릭 및 설정합니다.
9번에서 변수 타입을 TEXT로 하는 것은 넘버로 했을 때 뒤에 소수점이.0000 이렇게 붙게 됩니다. 이걸 해결을 못했습니다. 단지 표현만 할 것이기 때문에 TEXT로 설정 했습니다.
#2 Revit 에서 Project parameters 추가하기
이미지의 번호 순서 대로 클릭 및 설정합니다.
PIPE의 Pipe BOP 라는 Shared Parameters 가 생성되었습니다.
#3 Dynamo 실행하기
먼저 제가 만든 파일을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습니다.
Revit Add-Ins 탭에 Dynamo를 실행합니다.
다이나모가 없으신 분들은 다이나모를 설치해 주세요. 홈페이지의 왼쪽에 있는 것 받으시면 됩니다.
http://dynamobim.org/download/
다이나모에서 다운받은 파일을 엽니다.
이런게 보이실 겁니다.
다이나모에서 RUN을 눌러주시면 Pipe BOP 값이 입력이 되게 됩니다.
실행이 완료 된 후 파이프를 클릭하시면 PIPE BOP 값이 입력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Dynamo를 이용하면 이런 작업들을 수월하게 할 수 있습니다.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 드리자면
먼저 프로젝트 모든 파이프에서 Slope 값이 0인 파이프만 필터링합니다. 이것은 구배배관이나 입상배관을 제외하는 방법입니다.
Slope 값이 0인 파이프들의 Off set, Diameter 정보를 얻어서 [Offset-(Diameter/2)]의 연산을 수행합니다.
이 값을 그냥 넣을 경우 소수점이 붙어서 반올림 하고 데이터 타입을 TEXT형식으로 바꿉니다.
결과값을 Pipe BOP 공유매개변수에 입력합니다.
다이나모를 잘 다루시면 레빗을 200배는 더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4 Pipe Tag family
파이프태그 패밀리를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습니다.
레빗에서 태그 패밀리를 Insert 합니다.
Annotate의 Tag by Category 기능을 이용하여 Tagging을 합니다.
이렇게 태깅이 되었습니다.
이러면 쉽게 BOP값을 추출 할 수 있습니다.
파이프 태그 패밀리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태그 패밀리를 열어서
1번을 클릭해 보시면 Label로 되어 있습니다.
2번을 클릭하여 edit 창을 보시면 왼쪽에 지원되는 변수 값들이 있고
3번을 클릭하면 공유매개변수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만들었던 Pipe BOP 변수를 추가해서 볼 수 있는 것이죠..
이런 방식을 좀 응용하면 여러 원하는 정보들을 태깅할 수 있습니다.
추가 문의사항은 메일이나 댓글로 주시면 최대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화이팅!!



